
[경기핫타임뉴스=김삼영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영주 의원(국민의힘, 양주1)은 11월 5일 경기도의회 의원실에서 경기교통공사 철도사업단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경기북부 철도운영 체계 확립과 운영비 지원, 철도 전담기관의 역할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영주 의원을 비롯해 경기교통공사 김석호 철도사업단장, 지창구 철도사업팀장이 참석했으며, 2027년 개통을 앞둔 7호선 도봉산~옥정 광역철도의 운영 준비가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마련된 자리로, 경기도 철도정책의 방향성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영주 의원은 이날 “경기도는 철도 건설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운영비 지원체계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는 자체 세입 구조를 통해 철도 운영을 책임지고 보전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지만, 경기북부의 경우 남부에 비해 세입이 부족하고, 재정자립도가 낮아 시·군의 철도 운영비 부담이 과도한 실정”이라면서 “경기교통공사를 중심으로 철도 전문기관과 협력해 안정적인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석호 철도사업단장은 “경기도에서도 운영비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연구용역 중”이라며 “경기교통공사 역시 철도 전문인력 확충과 안정적 운영 기반 조성에 힘쓰겠다”고 답했다.
또한 “경기도의 교통정책 패러다임이 버스 중심에서 철도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면서 “GTX-A 개통 이후 경기북부의 교통 패턴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간선철도망을 중심으로 도시 구조를 재설계하고, 농촌·외곽 지역은 ‘똑버스’나 택시바우처 등 맞춤형 교통수단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영주 의원은 “의정부 경전철의 실패는 체계적인 기획 및 운영·관리 체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양주시는 이러한 경험을 참고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운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기도는 경기교통공사, 시·군과 함께 협력체계를 구성하여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경기도는 책임지고 경기 철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한 경기북부의 성장 정체 원인으로 “북한산과 도봉산이 서울과 경기북부를 가로막는 교통 단절 구조”를 지적했다. “과거 우이령 고개는 경기북부 경제의 숨통이었지만 군사적 이유로 폐쇄된 이후 지역 발전이 정체됐다”며 “이제는 생태환경은 최대한 보존하면서 ‘우이령 지하도로’를 조성해 우이경전철과 교외선을 연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이 노선이 완성되면 서울 강북권과 양주·의정부가 직접 연결되어 북부의 중심이 살아날 뿐 아니라, 향후 남북 경제협력 시대에도 교통 중심축이 될 것”이라며 “서울과 경기북부가 함께 살아나는 ‘지하 생명선’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이영주 의원은 “경기북부의 발전 정체는 교통 불균형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이며, 경기도가 적극적으로 나서 철도 중심의 교통전환을 이끌 때 비로소 진정한 북부 균형발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도민의 삶과 산업이 철도로 연결되는 ‘경기형 철도 네트워크 시대’를 열기 위해 의회 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감시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