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핫타임뉴스=김삼영 기자] 교통대란이 예상된다는 우려 속 난항을 겪던 화성 동탄2신도시 내 유통3부지 개발사업이 장기간의 표류 끝에 인허가 절차의 마지막 단계에 진입했다.
확인된 내용에 따르면 올해 5월 22일 열린 경기도 교통영향평가 심의에서 조건부 수정의결로 통과된 이후 3개월여간의 협의 끝에 8월 21일 경기도 교통영향평가 보완심의에서 ‘원안가결’되면서 현재 11월 개최 예정인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상정을 앞둔 상황이다.
해당 사업은 지난 2010년 유통업무설비용지로 승인된 이후 주민 민원과 교통 논쟁, 행정 보류가 반복되면서 수년간 답보상태에 빠져 있었다. 실제 2024년 7월 세부조성계획안 접수 당시만 해도 10~11월 주민공람 기간 동안 684건의 의견이 접수된 바 있다.
주요 의견 내용은 ▲동부대로 교통혼잡 ▲화물차 진입로 ▲소음·환경 문제 등으로 이에 시의회는 “교통영향평가와 환경성 검토 완료 후에만 청취할 수 있다”며 두 차례 보류를 결정, 사업은 가다 서기를 반복해 왔다.
심의위원회가 부여한 조건은 ▲동부대로 개선대책 ▲화물차 좌회전 제한 ▲오산IC 방면 통행 최소화 ▲어린이 통행 안전대책 등 7가지 등이다.
이에 따라 화성시, 오산시, 사측과의 협의, 검토, 의견회신이 반복적으로 이뤄졌으며, 지난 7월 17일 경기도-화성시 조치보완보고서 협의 끝에 사업시행사는 업무시설 20층→6층, 창고시설 8층→7층으로 규모 축소를 결정하면서 최초 입안 안 대비 연면적 35.1% 감소 (62만㎡→41만㎡) 이에 따른 교통통행량도 약 26.3%를 감축했다.
사업성 악화로 인한 순이익 감소액은 수십억 원대로 추정되지만, 시행사는 “지역 여건을 감안해 불가피하다”라는 결정으로 이를 수용함에 따라 8월 재해영향평가를 완료하고 8월 21일 교통영향평가 보완심의 통과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오산시와 화성시 간 의견차를 보이고 있는 사업지 인근 스마트IC 설치 여부가 아직 결론이 나지 않고 있어 또 하나의 과제로 남아있다.
화성시는 “물류차량 분산을 위한 IC 신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오산시는 “운암뜰 사업과의 중복, 교통정체 심화 우려”를 이유로 신중론을 고수하고 있다.
현재 사업시행사는 11월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시작으로 2026년 1월 경관위원회 → 2월 건축허가 및 실시계획인가 → 3월 구조심의 → 5월 착공신고 순으로 추진 계획을 잡고 있다.
이번 사업은 주민의 교통 불편과 환경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용적률과 통행량을 줄이는 구조조정형 타협안으로 귀결된 가운데 화성시와 오산시, 그리고 시민 모두가 불편을 감수하며 합리적 조정을 이끌어낸 셈이다.
시행사 관계자는 “15년 동안 주민과 행정의 요구를 반영하며 수차례 설계를 바꿔 왔다”며 “이제는 행정절차가 물 흐르듯 자연스럽고 신속하게 이어져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용적률 35.1% 축소와 교통통행량 26.3% 감축 등으로 순이익이 크게 줄었지만,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만큼 행정절차가 조속히 마무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동탄2 유통3부지 사업은 단순한 개발을 넘어, ‘행정과 주민, 기업이 어떻게 타협하며 도시 균형을 맞춰가는가’를 보여주는 시험대로 비치고 있는 가운데 11월 개최 예정인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심의 결과에 따라 화성시가 지역공공성과 민간사업성의 균형을 어떻게 잡을지에 대한 귀추도 주목되고 있다.

